맨위로가기

어셔가의 몰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셔 가의 몰락"은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어릴 적 친구 로데릭 어셔의 도움 요청을 받고 그의 저택을 방문한 화자가 겪는 기이한 사건들을 그린다. 로데릭과 그의 쌍둥이 여동생 매들린은 어셔 가문의 마지막 생존자이며, 매들린은 혼미 상태에 빠지는 병을 앓고 있다. 로데릭은 매들린이 죽었다고 말하며 그녀를 가족 묘지에 안치하지만, 이후 로데릭과 화자는 매들린의 존재를 느끼며 극도의 불안감에 휩싸인다. 결국, 매들린은 생매장된 채로 나타나 로데릭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고, 화자는 어셔 가문의 몰락을 목격한다. 이 작품은 고딕 소설의 특징을 보여주며, 인간 심리 묘사와 상징성을 통해 공포, 파멸, 죄책감 등의 감정을 전달한다. "어셔 가의 몰락"은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넷플릭스 미니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딕 단편소설 - 성급한 매장
    《성급한 매장》은 강직증으로 혼수상태에 빠진 화자가 생매장 공포에 시달리는 이야기를 통해 19세기 생매장 공포증과 의학 한계를 반영하고 인간 내면의 공포와 불안을 묘사한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 고딕 단편소설 - 구덩이와 진자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구덩이와 진자"는 스페인 종교 재판소 감옥에 갇힌 화자가 구덩이, 진자, 좁혀오는 벽과 같은 극한 상황 속에서 겪는 고문과 죽음의 공포를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소설 - 도둑맞은 편지
    《도둑맞은 편지》는 에드거 앨런 포의 듀팽 탐정 시리즈 세 번째 작품으로, 오귀스트 르팽이 도난당한 왕비의 편지를 D— 장관의 심리를 역이용하여 찾아내는 과정을 그린 추리 소설이며, '맹점 원리'를 통해 후대 추리 소설에 큰 영향을 미치고 문학적, 철학적 의미를 지닌다.
  •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소설 - 성급한 매장
    《성급한 매장》은 강직증으로 혼수상태에 빠진 화자가 생매장 공포에 시달리는 이야기를 통해 19세기 생매장 공포증과 의학 한계를 반영하고 인간 내면의 공포와 불안을 묘사한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어셔가의 몰락
작품 정보
원제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저자에드거 앨런 포
언어영어
장르단편 소설
고딕 소설
호러 소설
발표 형태잡지 게재
첫 발표『버턴스 젠틀맨 매거진』 1839년 9월호
수록『그로테스크와 아라베스크의 이야기』 1840년

2. 줄거리

이름 없는 화자는 어릴 적 친구인 로데릭 어셔로부터 그의 질병을 호소하며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받고 어셔 가의 저택을 방문한다. 화자는 지붕에서 시작하여 집 앞면을 따라 인접한 타른로 이어지는 얇은 금을 발견한다.

로데릭과 그의 쌍둥이 여동생 매들린은 어셔 가문의 마지막 생존자들이다. 매들린은 혼미 상태에 빠지는 병을 앓고 있다. 화자는 로데릭의 그림에 감명을 받고, 그와 함께 책을 읽고, 기타 연주를 들으며 그를 격려한다. 로데릭은 "유령의 궁전"을 부르며, 자신의 운명이 저택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고 말한다.

로데릭은 매들린이 죽었다고 알리고, 그녀의 시신이 발굴될 것을 두려워하여 2주 동안 집 안 가족 묘지에 안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화자는 로데릭을 도와 매들린을 묘지에 안치하고, 그녀와 로데릭이 쌍둥이였다는 것과 매들린의 뺨에 붉은 기운이 있음을 알게 된다.

다음 주 동안 로데릭과 화자는 점점 더 초조해진다. 폭풍이 몰아치는 어느 날 밤, 로데릭은 히스테리 상태로 화자의 침실로 찾아와 집 주변 호수가 빛나는 것을 지적한다. 화자는 로데릭을 진정시키기 위해 중세 로맨스 소설 '광인 트리스트'를 읽어준다. 소설 속 용의 비명과 방패가 떨어지는 소리가 묘사될 때, 집 안에서 실제로 비명과 텅 빈 금속 울림이 들린다. 로데릭은 이 소리가 생매장된 매들린이 내는 소리라고 말한다.

침실 문이 열리고 피투성이의 매들린이 나타나 오빠를 공격하여 함께 죽음을 맞이한다. 화자는 집에서 뛰쳐나와 달빛이 집의 틈새로 비치는 것을 보며, 어셔의 집이 두 조각으로 갈라져 호수로 가라앉는 것을 목격한다.

3. 등장인물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어셔 가의 몰락"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나 (화자):''' 로데릭 어셔의 어린 시절 친구로, 그의 초대를 받고 어셔 가를 방문한다. 로데릭의 정신적 고통을 공감하고 그를 도우려 노력하는 관찰자이자 중재자 역할을 한다. 화자는 로데릭의 절실한 동반 요구에 설득당하여 어셔 가를 방문하게 된다.[3] 그는 이야기에 완전히 참여하지 않고 외부인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지켜본다.[3]

  • '''로데릭 어셔:''' 어셔 가문의 마지막 후손으로, 극심한 신경쇠약과 광기에 시달린다. 그는 예술적 감수성이 뛰어나지만, 동시에 극도의 불안과 공포에 휩싸여 있다. 로데릭은 은둔자이며,[2] 육체적, 정신적으로 모두 건강하지 않은 상태이다.[2] 그는 자신의 병을 알리며 어린 시절 친구였던 화자에게 편지를 보내 도움을 요청한다.[2]

로데릭은 "부활자"들이 그의 사랑하는 여동생의 시체를 해부, 연구 또는 실험을 위해 훔치는 것을 막기 위해 매들린의 매장을 세심하게 계획하였다.[5]

  • '''매들린 어셔:''' 로데릭의 쌍둥이 여동생으로, 원인 모를 병으로 인해 죽음에 이르게 된다. 생매장되었다가 다시 살아 돌아오는 설정은 공포감을 극대화하는 장치로 활용된다. 매들린은 이야기 속에서 화자의 존재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며, 로데릭이 그녀가 죽었다고 주장한 후 무덤에 안치된다.[3]

4. 작품 분석

"어셔 가의 몰락"은 고딕 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공포, 파멸, 죄책감 등의 감정을 통해 분위기를 조성한다.[17] 특히 인간 심리 묘사에 집중하여 작품의 깊이를 더했다.

1894년 오브리 비어즐리의 삽화


이 작품은 모든 요소와 세부 사항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포의 "절대성"의 훌륭한 예시로 평가받는다.[16] 넓고 붕괴되어가는 어셔 저택은 작품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 신체의 파괴를 상징하고, 가문의 몰락과 함께 "죽는다".[15][19] 이러한 연결은 로데릭의 시 "유령의 궁전"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난다.[19]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토머스 올리브 매벗의 말을 인용하며 H.P. 러브크래프트가 로데릭 어셔, 그의 여동생 매들린, 저택이 모두 하나의 공통된 영혼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고 언급했다.[20] 작품은 인간 정신에 대한 묘사로 분석되기도 하는데, 저택은 무의식, 중심 균열은 해리성 정체 장애에 비유되기도 한다. 로데릭과 매들린 사이의 근친상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암시될 수 있다.[21] 학자들은 로데릭이 여동생을 묘사할 때 사용한 언어에서 근친상간의 암시를 찾고, 이것이 가문 몰락의 실제 원인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3]

아편은 이 이야기에서 두 번 언급된다.[1] 화자는 어셔 저택 주변의 음울한 풍경으로 인한 우울한 감정을 아편 중독자의 약물 금단 증상에 비유하고, 로데릭 어셔를 "구제 불능의 아편 중독자"로 묘사한다.[22]

작품 도입부의 금언은 프랑스 작사가 피에르 장 드 베랑제의 "르 레퓌" (1831)를 인용한다.[1] 화자는 어셔의 음악 작품 중 하나를 "폰 베버의 마지막 왈츠의 야성적인 선율의 독특한 변형과 증폭"이라고 묘사하는데, 이는 카를 고틀리프 라이시거의 작품이다.[24] 어셔의 그림은 화자에게 스위스 출신 영국 화가 헨리 푸젤리를 연상시킨다.

고자질하는 심장, 검은 고양이, 아몬티야도의 술통과 함께 "어셔가의 몰락"은 포의 유명한 산문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26] G.R. 톰슨은 이 이야기가 고딕 호러의 걸작이자 극적 아이러니와 구조적 상징주의의 걸작이라고 평가했다.[27]

워싱턴 어빙은 포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림을 눈에 띄게 하려고 너무 애썼거나 효과를 불신하여 색채를 너무 많이 입혔다고 지적했다.[29] 존 맥알리어는 허먼 멜빌이 ''모비 딕''에서 에이해브의 결함 있는 성격을 객관화하려는 아이디어를 포의 "어셔가의 몰락"에서 얻었다고 주장했다.[30]

로데릭은 많은 포의 등장인물들처럼 이름 없는 질병에 시달리며, 감각 과민성을 보인다.[18] 그는 가족의 질병 이력을 바탕으로 아플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아픈 건강 염려증 환자이다.[18] 그는 여동생을 산 채로 묻는 자기 충족적 예언을 한다.

어셔의 서재는 "병자 [로데릭 어셔]의 정신적 존재의 작은 부분을 형성했다"고 언급된다. 이야기에는 다음과 같은 실제 작품들이 언급된다.

  • 마키아벨리의 ''벨페고르''
  •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천국과 지옥''
  • ''감독관 지침''
  • 토마소 캄파넬라의 "시비타스 솔리스"[25]

4. 1. 고딕 소설적 요소

4. 2. 심리 묘사

4. 3. 상징성

"어셔 가의 몰락"은 모든 요소와 세부 사항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절대성의 훌륭한 예시로 여겨진다.[16]

넓고 붕괴되어가는 저택은 인간 신체의 파괴를 상징하며, 이는 포의 후기 작품에서 특징적인 요소로 계속 나타난다.[15] 어셔 가는 저택 자체와 가문을 모두 지칭하며, 화자가 독자에게 소개하는 첫 번째 "등장인물"로서 의인화되어 제시된다. 첫 단락에서 창문은 두 번이나 "눈과 같은" 것으로 묘사되며, 저택 측면의 균열은 어셔 가문의 쇠퇴를 상징한다. 저택은 두 어셔 형제와 함께 "죽는다". 이러한 연결은 파멸을 암시하는 저택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인 로데릭의 시 "유령의 궁전"에서 강조된다.[19]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그의 저서 ''러브크래프트: 전기''에서 "[고 포 전문가] 토머스 올리브 매벗에 따르면, H.P. 러브크래프트는 '문학 속 초자연적 공포'에서 "로데릭 어셔, 그의 여동생 매들린, 그리고 저택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영혼을 공유한다"고 주장함으로써 포의 해석에 대한 문제를 해결했다"고 썼다.[20]

이 이야기는 공포, 임박한 파멸, 죄책감과 같은 감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포의 능력을 보여준다.[17] 이러한 감정들은 이름 없는 질병에 시달리는 로데릭 어셔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그는 "고해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감각 과민성을 겪으며, 가족의 질병 이력을 바탕으로 아플 것이라고 예상하여 건강 염려증을 보인다.[18] 그는 여동생을 산 채로 묻을 것이라고 예상하여 자신의 자기 충족적 예언을 만들어낸다.

많은 비평가들은 이 이야기의 플롯을 인간 정신의 묘사로 분석하며, 저택을 무의식에, 중심 균열을 해리성 정체 장애에 비유한다. 로데릭과 매들린 사이의 근친상간 관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암시될 수 있다.[21] 학자들은 로데릭이 여동생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언어가 쌍둥이 사이의 가능한 근친상간 관계에 대한 암시로 가득 차 있으며, 이러한 변태 성욕이 가문의 몰락과 어셔 가 혈통의 종말의 실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23]

아편은 이 이야기에서 두 번 언급된다.[1] 어셔 저택 주변의 음울한 풍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한 감정은 화자에 의해 아편 중독자의 약물 금단 증상으로 인한 질병과 비교된다. 화자는 또한 로데릭 어셔의 모습을 "구제 불능의 아편 중독자"로 묘사한다.[22]

5. 주제

"어셔 가의 몰락"은 모든 요소와 세부 사항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의미가 있는 에드거 앨런 포의 "절대성"의 가장 훌륭한 예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16]

넓고 붕괴되어가는 저택은 인간 신체의 파괴를 상징하며, 이는 포의 후기 작품에서 특징적인 요소로 계속 나타난다.[15]

이 작품은 공포, 임박한 파멸, 죄책감과 같은 감정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포의 능력을 보여준다.[17] 이러한 감정은 이름 없는 질병을 앓고 있는 로데릭 어셔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그는 "고해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감각 과민성을 겪는데, 이 질병은 육체적으로 나타나지만, 그의 정신적 또는 도덕적 상태에 기반을 두고 있다. 로데릭은 가족의 질병 이력을 바탕으로 자신이 아플 것이라고 예상하여 건강 염려증을 앓고 있으며, 여동생을 산 채로 묻는 행동은 자기 충족적 예언을 만들어낸다.

어셔 가는 저택 자체와 가문을 모두 지칭하며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자는 저택을 의인화하여 묘사하는데, 첫 단락에서 창문은 두 번이나 "눈과 같은" 것으로 묘사된다. 저택 측면에 생기는 균열은 어셔 가문의 쇠퇴를 상징하며, 두 어셔 형제와 함께 저택은 "죽는다". 이러한 연결은 파멸을 암시하는 저택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인 로데릭의 시 "유령의 궁전"에서 강조된다.[19]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러브크래프트: 전기''에서 토머스 올리브 매벗의 말을 인용하며, H.P. 러브크래프트가 "로데릭 어셔, 그의 여동생 매들린, 그리고 저택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영혼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고 썼다.[20]

많은 비평가들은 이 이야기의 플롯을 인간 정신의 묘사로 분석하며, 저택을 무의식에, 중심 균열을 해리성 정체 장애에 비유하기도 한다. 로데릭과 매들린 사이의 근친상간 관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두 남매의 애착 관계를 통해 암시될 수 있다.[21] 학자들은 로데릭이 여동생을 묘사할 때 사용한 언어가 쌍둥이 사이의 가능한 근친상간 관계를 암시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변태 성욕이 가문의 몰락과 어셔 가 혈통의 종말의 실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23]

포가 산문과 시에서 여러 번 언급한 아편은 이 이야기에서도 두 번 언급된다.[1] 화자는 어셔 저택 주변의 음울한 풍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한 감정을 아편 중독자의 약물 금단 증상과 비교하고, 로데릭 어셔의 모습을 "구제 불능의 아편 중독자"로 묘사한다.[22]

5. 1. 인간 내면의 공포와 불안

"어셔 가의 몰락"은 모든 요소와 세부 사항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의미를 가지는 포의 "절대성"의 가장 훌륭한 예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16]

이 작품은 공포, 임박한 파멸, 죄책감과 같은 감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포의 능력을 보여준다.[17] 이러한 감정은 이름 없는 질병에 시달리는 로데릭 어셔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그는 "고해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감각 과민성을 겪으며, 가족의 질병 이력을 바탕으로 자신이 아플 것이라고 예상하는 건강 염려증 환자이다.[18] 그는 여동생을 산 채로 묻을 것이라고 예상하여 자신의 자기 충족적 예언을 실현한다.

어셔 가는 저택 자체와 가문을 모두 지칭하며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자는 저택을 의인화하여 묘사하며, 창문은 "눈과 같은" 것으로 묘사된다. 저택 측면의 균열은 어셔 가문의 쇠퇴를 상징하고, 저택은 두 어셔 형제와 함께 "죽는다". 이러한 연결은 로데릭의 시 "유령의 궁전"에서 파멸을 암시하는 저택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통해 강조된다.[19]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러브크래프트: 전기''에서 토머스 올리브 매벗의 말을 인용하여, H.P. 러브크래프트가 "로데릭 어셔, 그의 여동생 매들린, 그리고 저택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영혼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고 언급했다.[20]

일부 비평가들은 이 이야기를 인간 정신의 묘사로 분석하며, 저택을 무의식에, 중심 균열을 해리성 정체 장애에 비유하기도 한다. 로데릭과 매들린 사이의 근친상간 관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암시될 수 있다.[21]

포가 산문과 시에서 여러 번 언급한 아편은 이 이야기에서도 두 번 언급된다.[1] 화자는 어셔 저택 주변의 음울한 풍경으로 인한 우울한 감정을 아편 중독자의 약물 금단 증상에 비유하고, 로데릭 어셔를 "구제 불능의 아편 중독자"로 묘사한다.[22]

학자들은 로데릭이 여동생을 묘사할 때 사용한 언어가 쌍둥이 사이의 가능한 근친상간 관계를 암시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변태 성욕이 가문의 몰락과 어셔 가 혈통의 종말의 실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23]

5. 2. 고립과 파멸

"어셔 가의 몰락"은 모든 요소와 세부 사항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의미가 있는 포의 "절대성"의 가장 훌륭한 예시로 여겨진다.[16]

인간 신체의 파괴를 상징하는 넓고 붕괴되어가는 저택의 존재는 포의 후기 작품에서 특징적인 요소로 계속 나타난다.[15] 이 작품은 공포, 임박한 파멸, 죄책감과 같은 감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포의 능력을 보여준다.[17] 이러한 감정들은 많은 포의 등장인물들처럼 이름 없는 질병에 시달리는 로데릭 어셔를 중심으로 한다.[18] "고해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이 질병은 로데릭의 감각 과민성을 자극한다. 질병은 육체적으로 나타나지만, 로데릭의 정신적 또는 도덕적 상태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는 가족의 질병 이력을 바탕으로 아플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아프고, 본질적으로 건강 염려증 환자이다.[18]

어셔 가(Usher)는 저택 자체와 가문을 모두 지칭하며,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자가 독자에게 소개하는 첫 번째 "등장인물"로, 의인화된 묘사로 제시된다. 첫 번째 단락에서 창문은 두 번이나 "눈과 같은" 것으로 묘사된다. 저택 측면에 생기는 균열은 어셔 가문의 쇠퇴를 상징하며, 두 어셔 형제와 함께 저택은 "죽는다". 이러한 연결은 로데릭의 시 "유령의 궁전"에서 강조되었는데, 이는 파멸을 암시하는 저택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인 듯하다.[19]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그의 저서 ''러브크래프트: 전기''에서 "[고 포 전문가] 토머스 올리브 매벗에 따르면, H.P. 러브크래프트는 '문학 속 초자연적 공포'에서 "로데릭 어셔, 그의 여동생 매들린, 그리고 저택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영혼을 공유한다"고 주장함으로써 포의 해석에 대한 문제를 해결했다"고 썼다.[20]

이 이야기의 플롯은 많은 비평가들로 하여금 이를 인간 정신의 묘사로 분석하게 했으며, 예를 들어, 저택을 무의식에 비유하고, 그 중심 균열을 해리성 정체 장애에 비유한다. 로데릭과 매들린 사이의 근친상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두 남매의 애착 관계를 통해 암시될 수 있다.[21] 학자들은 로데릭이 그의 여동생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언어가 쌍둥이 사이의 가능한 근친상간 관계에 대한 암시로 가득 차 있으며, 이러한 변태 성욕이 가문의 몰락과 어셔 가 혈통의 종말의 실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23]

포가 산문과 시에서 여러 번 언급한 아편은 이 이야기에서도 두 번 언급된다.[1] 어셔 저택 주변의 음울한 풍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한 감정은 화자에 의해 아편 중독자의 약물 금단 증상으로 인한 질병과 비교된다. 화자는 또한 로데릭 어셔의 모습을 "구제 불능의 아편 중독자"로 묘사한다.[22]

5. 3. 정신과 육체의 관계

"어셔 가의 몰락"은 모든 요소와 세부 사항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의미가 있는 포의 "절대성"의 가장 훌륭한 예시로 여겨진다.[16]

넓고 붕괴되어가는 저택은 인간 신체의 파괴를 상징하며, 이는 포의 후기 작품에서 특징적인 요소로 계속 나타난다.[15]

이 작품은 공포, 임박한 파멸, 죄책감과 같은 감정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포의 능력을 보여준다.[17] 이러한 감정은 이름 없는 질병을 앓고 있는 로데릭 어셔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그는 "고해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감각 과민성을 겪는데, 이 질병은 육체적으로 나타나지만, 그의 정신적 또는 도덕적 상태에 기반을 두고 있다. 로데릭은 가족의 질병 이력을 바탕으로 자신이 아플 것이라고 예상하여 건강 염려증을 앓고 있으며, 여동생을 산 채로 묻는 행동은 자기 충족적 예언을 만들어낸다.

어셔 가는 저택 자체와 가문을 모두 지칭하며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자는 저택을 의인화하여 묘사하는데, 첫 단락에서 창문은 두 번이나 "눈과 같은" 것으로 묘사된다. 저택 측면에 생기는 균열은 어셔 가문의 쇠퇴를 상징하며, 두 어셔 형제와 함께 저택은 "죽는다". 이러한 연결은 파멸을 암시하는 저택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인 로데릭의 시 "유령의 궁전"에서 강조된다.[19]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러브크래프트: 전기''에서 토머스 올리브 매벗의 말을 인용하며, H.P. 러브크래프트가 "로데릭 어셔, 그의 여동생 매들린, 그리고 저택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영혼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고 썼다.[20]

많은 비평가들은 이 이야기의 플롯을 인간 정신의 묘사로 분석하며, 저택을 무의식에, 중심 균열을 해리성 정체 장애에 비유하기도 한다. 로데릭과 매들린 사이의 근친상간 관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두 남매의 애착 관계를 통해 암시될 수 있다.[21] 학자들은 로데릭이 여동생을 묘사할 때 사용한 언어가 쌍둥이 사이의 가능한 근친상간 관계를 암시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변태 성욕이 가문의 몰락과 어셔 가 혈통의 종말의 실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23]

포가 산문과 시에서 여러 번 언급한 아편은 이 이야기에서도 두 번 언급된다.[1] 화자는 어셔 저택 주변의 음울한 풍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한 감정을 아편 중독자의 약물 금단 증상과 비교하고, 로데릭 어셔의 모습을 "구제 불능의 아편 중독자"로 묘사한다.[22]

6.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

6. 1. 소외와 고립 문제

6. 2. 정신 건강 문제

6. 3. 가족 해체 문제

7. 각색 및 영향

"어셔 가의 몰락"은 그 뛰어난 문학성과 대중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왔다.

''어셔 가의 몰락''(1928), 감독 장 엡스타인


''어셔 가의 몰락''(1928), 감독 제임스 시블리 왓슨 및 멜빌 웨버


1928년, 장 엡스타인이 감독하고 마르그리트 갱스, 장 데부쿠르, 샤를 라미가 출연한 무성 프랑스 공포 영화 ''라 쉬트 드 라 메종 위세''가 제작되었다. 같은 해 제임스 시블리 왓슨과 멜빌 웨버가 감독한 또 다른 무성 영화 버전 ''어셔 가의 몰락''도 개봉되었다.

에드거 앨런 포의 열렬한 팬인 미국 감독 커티스 해링턴은 자신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영화에서 이 이야기를 다루었다. 그는 1942년에 10분짜리 무성 단편 영화를 8mm으로 촬영했고,[31] 2000년에는 ''어셔''라는 제목의 36분 버전을 35mm로 촬영했다.[31]

1950년에는 영국에서 ''어셔 가의 몰락''이 제작되었으며, 그웬 왓포드, 케이 텐데터, 어빙 스틴이 출연했다. 1956년, 미국 텔레비전 ''NBC 마티네 극장''은 마셜 톰슨과 톰 트라이언이 출연한 ''어셔 가의 몰락''을 방송했다.

로저 코먼의 1960년 영화 ''어셔 가의 집''은 빈센트 프라이스가 로데릭 어셔 역, 마이르나 페이가 매들린 역, 마크 데이먼이 필립 윈throp 역을 맡았다.

1966년, ATV가 ITV 네트워크를 위해 텔레비전 각색 ''미스터리와 상상력''을 제작했고, 1976년에는 ''단편 소설 쇼케이스''를 위해 ''어셔 가의 몰락''의 30분 버전이 미국 TV를 위해 제작되었다.

1979년, 이탈리아 국영 채널 RAI는 시리즈 ''에드가 앨런 포의 환상적인 이야기''를 제작했으며,[33] 다니엘레 단자가 감독하고, 로데릭 어셔 역은 필립 르로이가 맡았다. 음악은 팝 밴드 푸가 작곡했다. 같은 해 제임스 L. 콘웨이가 감독하고 마틴 랜도, 로버트 헤이스, 레이 왈스턴, 샬린 틸턴이 출연한 미국 텔레비전 네트워크 NBC의 방송이 1982년에 개봉되었다.[34][35]

체코 감독 얀 슈반크마이에르는 1980년 단편 영화 ''자니크 도무 어셔''를 각색했다. 1989년, ''어셔 가의 집''은 올리버 리드가 출연한 미국, 영국, 캐나다 회사가 제작한 영화였다.

2002년, 켄 러셀은 ''어셔 가의 루스''라는 제목의 공포 코미디 버전을 제작했다. 2006년 영화 ''어셔 가의 집''은 호주 감독 헤일리 클로크가 연출하고 오스틴 니콜스가 로데릭 어셔 역을 맡았다.[36]

''어셔 가의 몰락''(2015)은 크리스토퍼 리가 내레이션을 맡은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이다.[37][38]

Intrepid Pictures는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기반으로 한 8부작 한정 시리즈 ''어셔 가의 몰락''을 넷플릭스를 위해 제작했다. 마이크 플래너건과 마이클 피모그나리는 각각 4개의 에피소드를 연출하고 이 시리즈를 총괄 제작했으며, 2023년에 초연되었다.[39]

클로드 드뷔시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어셔가의 몰락"이라는 제목의 오페라 작업을 했다.[40] 앨런 헐의 노래 "레이디 엘레노어"는 1971년 영국 포크 록 밴드 린디스판의 히트 싱글이었으며, "어셔가의 몰락"과 다른 포의 작품들에서 영감을 받았다.[40] "어셔가의 몰락"은 앨런 파슨스 프로젝트가 1976년에 발표한 앨범 ''미스터리와 상상력''의 5부작 기악 모음곡이다. 필립 글래스가 1987년에 작곡하고 아서 요링크스가 대본을 쓴 ''어셔가의 몰락''은 아메리칸 레퍼토리 극장과 켄터키 오페라에서 1988년에 초연되었으며 2009년 내슈빌 오페라에서 부활했다.[41] 롱 비치 오페라는 2013년 2월 로스앤젤레스 샌 페드로에 있는 워너 그랜드 극장에서 이 작품의 버전을 상연했다.[42] 피터 해밀이 작곡하고 크리스 저지 스미스가 대본을 쓴 ''어셔가의 몰락''은 1991년 섬 비자르 레코드에서 발매되었고, 1999년 해밀은 자신의 작품을 수정하여 ''어셔가의 몰락 (해체 및 재건축)''으로 발매했다. 이 오페라는 한 번도 라이브로 공연된 적이 없다. 2002년 랜스 테이트는 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1막 연극 ''어셔가의 몰락''을 썼다. 로라 그레이스 파틸로는 ''에드거 앨런 포 리뷰'' (2006)에서, "[테이트의] 연극은 포의 원작 이야기를 매우 밀접하게 따르며, 여성 코러스 인물을 사용하여 '친구'(테이트가 내레이터의 이름을 지음)가 어셔와 독백과 대화를 번갈아 가며 이야기를 전개한다."라고 작성하였다.[43] 2008년, 뮤지컬 각색("어셔")은 뉴욕 국제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최고 뮤지컬상을 수상했다.[44][45][46]

레이 브래드버리의 1950년 단편집 ''화성 연대기''에는 포우에 대한 오마주인 "어셔 2세"라는 소설이 수록되어 있다.[40] 주인공 윌리엄 스텐달은 포우의 이야기 속 설계를 바탕으로 집을 지어 적들을 살해한다.[40] 로버트 R. 매캠먼의 1984년 소설 ''어셔의 몰락''은 어셔 가문의 "진실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고딕 소설이다.[47] 포우는 소설의 시작을 알리는 회상 장면에 등장한다.[47] 2022년 미국 작가 T. 킹피셔의 소설 ''죽은 자를 움직이는 것''은 "어셔 가의 몰락"을 재해석한 작품이다.[40]

7. 1. 영화



1928년, 장 엡스타인이 감독하고 마르그리트 갱스, 장 데부쿠르, 샤를 라미가 출연한 무성 프랑스 공포 영화 ''라 쉬트 드 라 메종 위세''가 제작되었다. 같은 해 제임스 시블리 왓슨과 멜빌 웨버가 감독한 또 다른 무성 영화 버전 ''어셔 가의 몰락''도 개봉되었다.

에드거 앨런 포의 열렬한 팬인 미국 감독 커티스 해링턴은 자신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영화에서 이 이야기를 다루었다. 그는 1942년에 10분짜리 무성 단편 영화를 8mm으로 촬영했고,[31] 2000년에는 ''어셔''라는 제목의 36분 버전을 35mm로 촬영했다.[31] 두 버전 모두 2013년 DVD/블루레이 릴리스 ''커티스 해링턴: 단편 영화 컬렉션''에 포함되었다.

1950년에는 영국에서 ''어셔 가의 몰락''이 제작되었으며, 그웬 왓포드, 케이 텐데터, 어빙 스틴이 출연했다. 1956년, 미국 텔레비전 ''NBC 마티네 극장''은 마셜 톰슨과 톰 트라이언이 출연한 ''어셔 가의 몰락''을 방송했다.

로저 코먼의 1960년 영화 ''어셔 가의 집''은 빈센트 프라이스가 로데릭 어셔 역, 마이르나 페이가 매들린 역, 마크 데이먼이 필립 윈throp 역을 맡았다. 이 영화는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코먼의 8편의 영화 시리즈 중 첫 번째 작품이었다.

1966년, ATV가 ITV 네트워크를 위해 텔레비전 각색 ''미스터리와 상상력''을 제작했고, 1976년에는 ''단편 소설 쇼케이스''를 위해 ''어셔 가의 몰락''의 30분 버전이 미국 TV를 위해 제작되었다.

1979년, 이탈리아 국영 채널 RAI는 시리즈 ''에드가 앨런 포의 환상적인 이야기''를 제작했으며,[33] 다니엘레 단자가 감독하고, 로데릭 어셔 역은 필립 르로이가 맡았다. 음악은 팝 밴드 푸가 작곡했다. 같은 해 제임스 L. 콘웨이가 감독하고 마틴 랜도, 로버트 헤이스, 레이 왈스턴, 샬린 틸턴이 출연한 미국 텔레비전 네트워크 NBC의 방송이 1982년에 개봉되었다.[34][35]

체코 감독 얀 슈반크마이에르는 1980년 단편 영화 ''자니크 도무 어셔''를 각색했다. 1989년, ''어셔 가의 집''은 올리버 리드가 출연한 미국, 영국, 캐나다 회사가 제작한 영화였다.

2002년, 켄 러셀은 ''어셔 가의 루스''라는 제목의 공포 코미디 버전을 제작했다. 2006년 영화 ''어셔 가의 집''은 호주 감독 헤일리 클로크가 연출하고 오스틴 니콜스가 로데릭 어셔 역을 맡았다.[36]

''어셔 가의 몰락''(2015)은 크리스토퍼 리가 내레이션을 맡은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이다.[37][38]

Intrepid Pictures는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기반으로 한 8부작 한정 시리즈 ''어셔 가의 몰락''을 넷플릭스를 위해 제작했다. 마이크 플래너건과 마이클 피모그나리는 각각 4개의 에피소드를 연출하고 이 시리즈를 총괄 제작했으며, 2023년에 초연되었다.[39]

7. 2. 오페라

클로드 드뷔시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어셔가의 몰락"이라는 제목의 오페라 작업을 했다.[40] 앨런 헐의 노래 "레이디 엘레노어"는 1971년 영국 포크 록 밴드 린디스판의 히트 싱글이었으며, "어셔가의 몰락"과 다른 포의 작품들에서 영감을 받았다.[40] "어셔가의 몰락"은 앨런 파슨스 프로젝트가 1976년에 발표한 앨범 ''미스터리와 상상력''의 5부작 기악 모음곡이다. 필립 글래스가 1987년에 작곡하고 아서 요링크스가 대본을 쓴 ''어셔가의 몰락''은 아메리칸 레퍼토리 극장과 켄터키 오페라에서 1988년에 초연되었으며 2009년 내슈빌 오페라에서 부활했다.[41] 롱 비치 오페라는 2013년 2월 로스앤젤레스 샌 페드로에 있는 워너 그랜드 극장에서 이 작품의 버전을 상연했다.[42] 피터 해밀이 작곡하고 크리스 저지 스미스가 대본을 쓴 ''어셔가의 몰락''은 1991년 섬 비자르 레코드에서 발매되었고, 1999년 해밀은 자신의 작품을 수정하여 ''어셔가의 몰락 (해체 및 재건축)''으로 발매했다. 이 오페라는 한 번도 라이브로 공연된 적이 없다. 2002년 랜스 테이트는 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1막 연극 ''어셔가의 몰락''을 썼다. 로라 그레이스 파틸로는 ''에드거 앨런 포 리뷰'' (2006)에서, "[테이트의] 연극은 포의 원작 이야기를 매우 밀접하게 따르며, 여성 코러스 인물을 사용하여 '친구'(테이트가 내레이터의 이름을 지음)가 어셔와 독백과 대화를 번갈아 가며 이야기를 전개한다."라고 작성하였다.[43] 2008년, 뮤지컬 각색("어셔")은 뉴욕 국제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최고 뮤지컬상을 수상했다.[44][45][46]

7. 3. 기타

클로드 드뷔시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어셔가의 몰락"이라는 제목의 오페라 작업을 했다.[40] 앨런 헐의 노래 "레이디 엘레노어"는 1971년 영국 포크 록 밴드 린디스판의 히트 싱글이었으며, "어셔가의 몰락"과 다른 포의 작품들에서 영감을 받았다.[40] "어셔가의 몰락"은 앨런 파슨스 프로젝트가 1976년에 발표한 앨범 ''미스터리와 상상력''의 5부작 기악 모음곡이다.[40]

''어셔가의 몰락''은 필립 글래스가 1987년에 작곡하고 아서 요링크스가 대본을 쓴 또 다른 오페라 버전으로, 아메리칸 레퍼토리 극장과 켄터키 오페라에서 1988년에 초연되었으며 2009년 내슈빌 오페라에서 부활했다.[41] 롱 비치 오페라는 2013년 2월 로스앤젤레스 샌 페드로에 있는 워너 그랜드 극장에서 이 작품의 버전을 상연했다.[42] ''어셔가의 몰락''은 피터 해밀이 작곡하고 크리스 저지 스미스가 대본을 쓴 오페라로, 1991년 섬 비자르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1999년, 해밀은 자신의 작품을 수정하여 ''어셔가의 몰락 (해체 및 재건축)''으로 발매했다.[40] 이 오페라는 한 번도 라이브로 공연된 적이 없다.[40]

2002년 랜스 테이트는 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1막 연극 ''어셔가의 몰락''을 썼다.[43] 로라 그레이스 파틸로는 ''에드거 앨런 포 리뷰'' (2006)에서, "[테이트의] 연극은 포의 원작 이야기를 매우 밀접하게 따르며, 여성 코러스 인물을 사용하여 '친구'(테이트가 내레이터의 이름을 지음)가 어셔와 독백과 대화를 번갈아 가며 이야기를 전개한다."라고 썼다.[43] 2008년, 뮤지컬 각색("어셔")은 뉴욕 국제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최고 뮤지컬상을 수상했다.[44][45][46]

레이 브래드버리의 1950년 단편집 ''화성 연대기''에는 포우에 대한 오마주인 "어셔 2세"라는 소설이 수록되어 있다.[40] 주인공 윌리엄 스텐달은 포우의 이야기 속 설계를 바탕으로 집을 지어 적들을 살해한다.[40] 로버트 R. 매캠먼의 1984년 소설 ''어셔의 몰락''은 어셔 가문의 "진실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고딕 소설이다.[47] 포우는 소설의 시작을 알리는 회상 장면에 등장한다.[47] 2022년 미국 작가 T. 킹피셔의 소설 ''죽은 자를 움직이는 것''은 "어셔 가의 몰락"을 재해석한 작품이다.[40]

8. 출판 역사

"어셔 가의 몰락"은 1839년 9월 ''버튼 신사 잡지(Burton's Gentleman's Magazine)''에 처음 출판되었다.[7] 1840년에는 ''그로테스크하고 아라베스크한 이야기(Tales of the Grotesque and Arabesque)''에 수록하기 위해 약간 수정되었다.[7] 이 작품에는 포의 시 "유령의 궁전(The Haunted Palace)"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시는 1839년 4월 ''볼티모어 박물관''에 별도로 게재되었다.[7]

1928년, 블랙 선 프레스(Black Sun Press)의 전신인 에디시옹 나르시스(Éditions Narcisse)는 앨러스테어(Alastair)의 삽화가 포함된 300부 한정판을 출판했다.

그후 일본에서는 타니자키 세이지역 신초샤(1925년)판본, 사사키 나오지로역 제일서방(1931년)판본, 마츠무라 타츠오역 카와이데 서방(1950)판본,오가와 카즈오역 치쿠마 서방(1968년)판본, 쿠메 모토이치역 이와사키 서점(1968년)판본, 코이즈미 이치로역 코단샤(1969년) 판본,카리타 모토시역 일본 북 클럽(1971년)판본,카와노 이치로역 도쿄 소겐샤(1974년)판본,후지카와 요시유키역 슈에이샤(1980년, 1992년)판본,야기 토시오역 국서 간행회(1982년)판본,카네하라 미즈히토역 이와나미 서점(2002년)판본,히나츠 켄노스케역 학연(2004년)판본,야기 토시오역 이와나미 서점(2006년)판본,니시자키 켄역 치쿠마 서방(2007년)판본,타츠미 타카유키역 신초샤(2009년)판본,마루야 사이이치역 중앙공론신사(2010년)판본, 류덴지 미나미역 치쿠마(2012년)판본,타니자키 준이치로역 중앙공론신사(2015년)판본,코노스 유키코역 슈에이샤(2016년)판본,오가와 타카요시역 코분샤(2016년)판본,카와이 쇼이치로역 카도카와(2022)판본 등이 출판되었다.

9. 참고: 원문 텍스트에 대한 분석

헤제키아 어셔의 아들 헤제키아의 집


「어셔가의 몰락」은 에드거 앨런 포고딕 소설의 전통에 따라 쓴 작품으로, 미국 고딕 소설의 대표작으로 여겨진다.[48] 이 작품은 극적인 아이러니와 구성적인 상징성을 겸비한 걸작으로 평가받는다.[48]

포는 이 작품을 구상하는 데 있어 여러 실존 사건 및 인물에게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시내에 위치했던 어셔 저택에서 일어난 사건이 그중 하나인데, 한 선원과 집 주인의 젊은 아내가 밀회를 하다 남편에게 발각되어 생매장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9] 1830년 어셔 하우스 철거 당시 지하실에서 껴안은 채 발견된 두 시체가 이 이야기의 진위 여부를 뒷받침하는 듯하다.[9]

포의 어머니 엘리자 포의 친구이자 배우 동료였던 루크 어셔 부부 또한 영감의 원천으로 여겨진다.[10] 이들은 엘리자가 병으로 사망할 때까지 포를 포함한 세 자녀를 돌보았다.

독일 작가 E.T.A. 호프만의 1819년 단편 ""와 하인리히 클라렌의 1812년 단편 "" (영어 번역: "The Robber's Tower")도 이 작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11][12] 특히 "The Robber's Tower"에는 젊은 여성이 생매장될까 두려워 주인공의 방 아래 무덤에 묻히는 장면, 현악기, 매장된 소녀의 살아있는 쌍둥이 등 여러 공통 요소가 나타난다.[12]

호레이스 월폴, 오포드 백작 4세의 ''오트란토 성''(1764)은 무너지고 유령이 들린 성이라는 테마를 통해 고딕 문학 장르를 정의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어셔가의 몰락」에도 영향을 미쳤다.[15]

작품 도입부의 금언은 프랑스 작사가 피에르 장 드 베랑제의 "르 레퓌" (1831)를 인용하며, "그의 심장은 닿는 순간 울려 퍼지는 매달린 류트와 같다"는 구절은 베랑제의 원문에서 "나의 마음"이 "그의 마음"으로 바뀌어 있다.[1]

화자는 어셔의 음악 작품 중 하나를 "폰 베버의 마지막 왈츠의 야성적인 선율의 독특한 변형과 증폭"이라고 묘사한다. 여기서 언급된 "베버의 마지막 왈츠"는 카를 고틀리프 라이시거의 작품이지만, 베버의 유품에서 발견되어 잘못 귀속된 것이다.[24]

어셔의 그림은 화자에게 스위스 출신 영국 화가 헨리 푸젤리를 연상시킨다.

어셔의 서재에는 마키아벨리의 ''벨페고르'',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천국과 지옥'', ''감독관 지침'', 토마소 캄파넬라의 ''시비타스 솔리스'' 등 실제 작품들이 언급되어 있다.[25]

참조

[1] 서적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Holt, Rinehart, and Winston
[2] 서적 Edgar Allan Poe: Storyteller Office of English Language Programs
[3] 학술지 The Character of Phantasm: Edgar Allan Poe's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and Jorge Luis Borges' 'Tlön, Uqbar, Orbis Tertius.' 2009-06-01
[4] 서적 Edgar Allan Poe: Storyteller Office of English Language Programs
[5] 학술지 With Sympathy for Roderick: Madeline Usher and the Resurrection Men 2018-03-01
[6] 서적 Supernatural Horror in Literature Dover Publications
[7] 서적 Edgar Allan Poe: A to Z Checkmark Books
[8] 서적 An Historic Corner, Tremont Street and Temple Place R.H. Stearns & Co.
[9] 서적 A.I.A. Guide to Boston
[10] 서적 Israfel: The Life and Times of Edgar Allan Poe Farrar & Rinehart, Inc.
[11] 서적 Nachtstücke Philipp Reclam
[12] 학술지 Poe's 'German' Source for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The Arno Schmidt Connection 1992-03-01
[13] 서적 Poe, "The House of Usher," and the American Gothic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4] 서적 Reading Poe Reading ''Blackwood's:'' The Palimpsestic Subtext in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Lexington Books
[15] 서적 Poe University of Mississippi Press
[16] 서적 The Universe of Roderick Usher Prentice Hall, Inc.
[17] 서적 Edgar Allan Poe: His Life and Legacy Cooper Square Press
[18] 서적 Usher's Hypochondriasis: Mental Alienation and Romantic Idealism in Poe's Gothic Tales Duke University Press
[19] 서적 Edgar Allan Poe: His Life and Legacy Cooper Square Press
[20] 서적 Lovecraft: A Biography Doubleday
[21] 서적 Poe Poe Poe Poe Poe Poe Po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2] 서적 Opium and the Romantic Imagination Faber & Faber
[23] 학술지 Edgar A. Poe's unity of affect/effect through incestuous perversions in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https://www.tandfonl[...] 2023-03-08
[24] 웹사이트 Edgar Allan Poe Society of Baltimore – General Topics – A Few Minor Poe Topics http://www.eapoe.org[...]
[25] 학술지 The Books in the House of Usher 1973
[26] 서적 Introduction: Poe in Our Tim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Great Short Works of Edgar Allan Poe HarperCollins
[28] 서적 Edgar Allan Poe: A Study in Genius Alfred A. Knopf
[29] 서적 The Best Horror Short Stories 1800–1849: A Classic Horror Anthology https://books.google[...] Bottletree Books LLC
[30] 학술지 Poe and Gothic Elements in ''Moby-Dick'' 1962
[31] 서적 Conversations in the Back of the Theatre: Preserving the Short films of Curtis Harrington (DVD Booklet) Drag City/Flicker Alley
[32] 웹사이트 Retrospective in Terror: An Interview with Curtis Harrington http://www.terrortra[...] Terror Trap 2005-04-01
[33] 웹사이트 I racconti fantastici di Edgar Allan Poe http://www.teche.rai[...] 2020-12-19
[34]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https://www.tcm.com/[...] Turner Classic Movies 2023-07-15
[35]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https://www.imdb.com[...] IMDb 2023-07-15
[36] 웹사이트 The House of Usher https://www.rottento[...]
[37] 웹사이트 'Extraordinary tales': Hong Kong Review http://www.hollywood[...] 2015-03-26
[38] 웹사이트 Extraordinary tales in the Haifa film festival http://www.haifaff.c[...]
[39] 뉴스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Netflix and Mike Flanagan Developing Series Based on Edgar Allan Poe Stories! https://bloody-disgu[...] 2017-10-06
[40] 뉴스 Obituary: Alan Hull https://www.independ[...] 1995-11-20
[41] 뉴스 Two by Philip Glass https://www.wsj.com/[...] 2010-11-29
[42] 뉴스 Review: Long Beach Opera charts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http://www.latimes.c[...] 2013-02-05
[43] 논문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and Other Plays Inspired by Edgar Allan Poe 2006-03-01
[44] 웹사이트 Two Eli productions stand out at New York's Fringe http://yaledailynews[...] 2008-09-09
[45] 웹사이트 Fringe Festival 2008 Reviews! http://www.villagevo[...] 2008-08-12
[46] 뉴스 Usher – the musical, not the person who seats you http://www.talkinbro[...] 2017-12-27
[47] 웹사이트 Robert McCammon » Robert R. McCammon's USHer's PASSING https://www.robertmc[...]
[48] 서적 Introduction: Poe in Our Time Oxford University Press
[49] 문서 巽 2009
[50] 서적 Edgar Allan Poe: A Study in Genius Alfred A. Knopf
[51] 서적 A.I.A. Guide to Boston
[52] 문서 巽 2009
[53] 웹사이트 E. A. Poe Society of Baltimore — A Few Minor Poe Topics http://www.eapo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